교회사 | 천주교 바로알기 (7) 바벨론-음녀종교의 근원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20-09-07 03:57 view12,366 Comment0관련링크
본문
[ Christian ] in KIDS
글 쓴 이(By): hbh (CCMG)
날 짜 (Date): 1997년07월25일(금) 15시32분33초 KDT
제 목(Title): 음녀...(7)바벨론과 음녀종교
(7)바벨론-음녀종교의 근원
셈족은 아라랏산 부근에 머물면서 여호와의 뜻을 쫓으려 했던 반면 함의 후손들은 산에서 내려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있는 메소포타미아(=강들사이의 땅) 평원에 정착하였고, 그중 함의 넷째 아들인 가나안은 두 강의 상류를 지나 윗바다(지중해)와 마주보는 팔레스타인 지역까지 진출하였습니다. 야벳의 자손들은 서쪽의 타우르스 산맥을 지나 바다를 끼고 좀 더 전진하다가 결국 바닷가의 땅에 자리를 정하였습니다(창10:5).
가나안의 후예 니므롯은 바벨과 앗수르, 니느웨에 이르기까지 광범한 나라를 건축하였습니다(창10:9-12).
예수님이 오셨던 즈음의 저명한 역사가 요세프스(josephus)는 니므롯과 그의 왕국 바벨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그때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께 대해 그토록 모욕적이고 경멸적으로 격동시킨 자는 니므롯이었다. 그는 또한 사람들을 하나님 경외하는 것에서 돌이킬 다른 길이 없는 것을 알고서 정부를 서서히 폭군정치로 바꾸어 갔다. 그러나 군중들은 니므롯의 결정을 따를 태세가 되었다. 여하한 고통도 남기지 않고 또한 손톱만큼의 나태도 용인치 않은 채 탑을 세웠다. 그리고 수많은 일군들이 고용되었기 때문에 탑은 높이 올라갔다. 그들이 탑을 세운 곳은 지금은 바벨론이라고 부른다"(요세푸스 <유대인 고대사>)
당시의 사람들에게 '니므롯'은 신과도 같은 존재였고 그의 명성은 '부활'내지는 '환생'을 낳기에 충분한 것이었습니다. 니므롯이 죽고나서 사람들은 니므롯의 몸을 토막내어 여러지역으로 보냈는데 성경에도 이와 같은 관습이 등장합니다(삿19:29, 삼상11:7). 그가 죽은 후 바벨론 백성들은 심히 슬퍼하였으며 급기야 황후였던 세미라미스는 니므롯이 태양신이 되었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후에 세미라미스는 유복자로 알려진 '담무스'(Tammuz)라는 아들을 낳았는데 그녀는 그를 초자연적으로 잉태하였으며 태양신이 된 '니므롯'의 아들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창3:15 '여인의 후손'으로 오실 구세주의 완벽한 모조품이었던 것입니다.
니므롯이 '태양신'이었다면 세미라미스는 '신의 아들'을 낳은 '신의 어머니'였으므로 같은 경배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것이 바로 '여신 숭배사상','음녀종교'의 출발이었습니다. '태양신'은 곧 '여호와'와 동일시 되었고 이름도 '바알=주님'이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바벨론 사람들의 대다수는 예배를 신비적인 상징이나 형상을 통하여 진행하였읍니다. 니므롯은 태양을 상징하는 여러가지 태양상, 물고기, 기둥, 동물 등으로 상징되었는데 의식적인 불을 붙여 그에게 경배하였습니다. (이러한 이교도의 상징들은 카톨릭 의식과 제복에 빠짐없이 나타납니다.) 금송아지는 '담무스'의 상징이었는데 이는 구약을 거쳐 지금까지도 끊이지 않고 나타나는 대표적인 형상우상입니다.
이런 바벨론적인 우상숭배에 대해 바울은 다음과 같이 책망하였습니다.
"썩어지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영광을 썩어질 사람과 금수와 버러지 형상의 우상으로 바꾸었느니라"(롬 1:23)
"이는 저희가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 것으로 바꾸어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김이라 주는 곧 영원히 찬송할 이시로다 아멘" (롬 1:25)
이러한 우상숭배는 사람들의 흩어짐을 따라 여러나라로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헤로도토스, 분젠, 레이야드 등 유명한 역사가들은 이집트의 종교제를 포함한 모든 우상숭배가 바벨론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히스롭 <두개의 바벨론>).
로마가 여러나라를 정복하고 세계적인 대국이 되었을 때, 원활한 통치를 위해 여러 이교국가들의 신들과 종교들을 자기들의 종교에 흡수하였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히스롭 <두개의 바벨론>). 바벨론이 이러한 모든 이교 우상숭배의 원천이었으므로 로마의 종교 또한 이러한 바벨론 '음녀종교'에 깊게 관련되어 있음은 분명합니다.
초기 그리스도교에 대한 핍박은 다름아닌 이러한 로마제국 내에 성행하던 이교도적 우상숭배와 관습, 신조들에 대해 어떤 것이라도 수용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었습니다.
hbh
글 쓴 이(By): hbh (CCMG)
날 짜 (Date): 1997년07월25일(금) 15시32분33초 KDT
제 목(Title): 음녀...(7)바벨론과 음녀종교
(7)바벨론-음녀종교의 근원
셈족은 아라랏산 부근에 머물면서 여호와의 뜻을 쫓으려 했던 반면 함의 후손들은 산에서 내려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있는 메소포타미아(=강들사이의 땅) 평원에 정착하였고, 그중 함의 넷째 아들인 가나안은 두 강의 상류를 지나 윗바다(지중해)와 마주보는 팔레스타인 지역까지 진출하였습니다. 야벳의 자손들은 서쪽의 타우르스 산맥을 지나 바다를 끼고 좀 더 전진하다가 결국 바닷가의 땅에 자리를 정하였습니다(창10:5).
가나안의 후예 니므롯은 바벨과 앗수르, 니느웨에 이르기까지 광범한 나라를 건축하였습니다(창10:9-12).
예수님이 오셨던 즈음의 저명한 역사가 요세프스(josephus)는 니므롯과 그의 왕국 바벨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그때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께 대해 그토록 모욕적이고 경멸적으로 격동시킨 자는 니므롯이었다. 그는 또한 사람들을 하나님 경외하는 것에서 돌이킬 다른 길이 없는 것을 알고서 정부를 서서히 폭군정치로 바꾸어 갔다. 그러나 군중들은 니므롯의 결정을 따를 태세가 되었다. 여하한 고통도 남기지 않고 또한 손톱만큼의 나태도 용인치 않은 채 탑을 세웠다. 그리고 수많은 일군들이 고용되었기 때문에 탑은 높이 올라갔다. 그들이 탑을 세운 곳은 지금은 바벨론이라고 부른다"(요세푸스 <유대인 고대사>)
당시의 사람들에게 '니므롯'은 신과도 같은 존재였고 그의 명성은 '부활'내지는 '환생'을 낳기에 충분한 것이었습니다. 니므롯이 죽고나서 사람들은 니므롯의 몸을 토막내어 여러지역으로 보냈는데 성경에도 이와 같은 관습이 등장합니다(삿19:29, 삼상11:7). 그가 죽은 후 바벨론 백성들은 심히 슬퍼하였으며 급기야 황후였던 세미라미스는 니므롯이 태양신이 되었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후에 세미라미스는 유복자로 알려진 '담무스'(Tammuz)라는 아들을 낳았는데 그녀는 그를 초자연적으로 잉태하였으며 태양신이 된 '니므롯'의 아들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창3:15 '여인의 후손'으로 오실 구세주의 완벽한 모조품이었던 것입니다.
니므롯이 '태양신'이었다면 세미라미스는 '신의 아들'을 낳은 '신의 어머니'였으므로 같은 경배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것이 바로 '여신 숭배사상','음녀종교'의 출발이었습니다. '태양신'은 곧 '여호와'와 동일시 되었고 이름도 '바알=주님'이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바벨론 사람들의 대다수는 예배를 신비적인 상징이나 형상을 통하여 진행하였읍니다. 니므롯은 태양을 상징하는 여러가지 태양상, 물고기, 기둥, 동물 등으로 상징되었는데 의식적인 불을 붙여 그에게 경배하였습니다. (이러한 이교도의 상징들은 카톨릭 의식과 제복에 빠짐없이 나타납니다.) 금송아지는 '담무스'의 상징이었는데 이는 구약을 거쳐 지금까지도 끊이지 않고 나타나는 대표적인 형상우상입니다.
이런 바벨론적인 우상숭배에 대해 바울은 다음과 같이 책망하였습니다.
"썩어지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영광을 썩어질 사람과 금수와 버러지 형상의 우상으로 바꾸었느니라"(롬 1:23)
"이는 저희가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 것으로 바꾸어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김이라 주는 곧 영원히 찬송할 이시로다 아멘" (롬 1:25)
이러한 우상숭배는 사람들의 흩어짐을 따라 여러나라로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헤로도토스, 분젠, 레이야드 등 유명한 역사가들은 이집트의 종교제를 포함한 모든 우상숭배가 바벨론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히스롭 <두개의 바벨론>).
로마가 여러나라를 정복하고 세계적인 대국이 되었을 때, 원활한 통치를 위해 여러 이교국가들의 신들과 종교들을 자기들의 종교에 흡수하였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히스롭 <두개의 바벨론>). 바벨론이 이러한 모든 이교 우상숭배의 원천이었으므로 로마의 종교 또한 이러한 바벨론 '음녀종교'에 깊게 관련되어 있음은 분명합니다.
초기 그리스도교에 대한 핍박은 다름아닌 이러한 로마제국 내에 성행하던 이교도적 우상숭배와 관습, 신조들에 대해 어떤 것이라도 수용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었습니다.
hbh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